Gallery

아래는 목눌관에 전시된 특수목 제품들입니다. 목눌관에 예약 방문하시면 상세한 안내와 함께 더 많은 제품을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.

모든 제품은 고전적이면서도 현대적인 디자인 접근법과 장인 정신에 따라 주문 제작됩니다. (디자인 및 사이즈 변경 가능)

Gallery

아래는 목눌관에 전시된 특수목 제품들입니다. 목눌관에 예약 방문하시면 상세한 안내와 함께 더 많은 제품을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.

모든 제품은 고전적이면서도 현대적인 디자인 접근법과 장인 정신에 따라 주문 제작됩니다. (디자인 및 사이즈 변경 가능)

Gallery

아래는 목눌관에 전시된 특수목 제품들입니다. 목눌관에 예약 방문하시면 상세한 안내와 함께 더 많은 제품을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.

모든 제품은 고전적이면서도 현대적인 디자인 접근법과 장인 정신에 따라 주문 제작됩니다. (디자인 및 사이즈 변경 가능)

W1 - 3중창문

미얀마 티크

황금 컬러 티크 원목으로 짜맞춘 갈매기형 빗살 문양 벽체. 덧창문과 한식풍의 벽속 미닫이 창문으로 구성.

W1 - 3중창문

미얀마 티크

황금 컬러 티크 원목으로 짜맞춘 갈매기형 빗살 문양 벽체. 덧창문과 한식풍의 벽속 미닫이 창문으로 구성.

D1 - 현관 중대문

티크

황금빛 대형 아치 구조물과 양개문으로 구성. 40년 숙성의 미얀마산 티크 원목을 돌처럼 다듬어 아치형 성벽처럼 쌓아올린 디자인.

D1 - 현관 중대문

티크

황금빛 대형 아치 구조물과 양개문으로 구성. 40년 숙성의 미얀마산 티크 원목을 돌처럼 다듬어 아치형 성벽처럼 쌓아올린 디자인.

E5 - 2중창, 하단 장식장과 붙박이장

북미 동부 캐나다산 월넛

2중창 하단에 위치한 장식장과 창문 좌우측에 위치한 붙박이장.

E5 - 2중창, 하단 장식장과 붙박이장

북미 동부 캐나다산 월넛

2중창 하단에 위치한 장식장과 창문 좌우측에 위치한 붙박이장.

E6 - 스테인드 글라스 창 인테리어

애쉬, 오크, 메이플, 글루램 등

뭉게구름 형상 캐노피와 창틀 주변의 나무 벽돌로 장식한 독일산 스테인드 글라스 작품.

E6 - 스테인드 글라스 창 인테리어

애쉬, 오크, 메이플, 글루램 등

뭉게구름 형상 캐노피와 창틀 주변의 나무 벽돌로 장식한 독일산 스테인드 글라스 작품.

P9 - 천장 장식과 조명등

체리, 월넛, 부빙가, 오크, 티크, 비치, 엘다, 메이플 등

여러 목재 수종의 잔재물을 재가공하여 원통형 방 내부의 벽체를 타고 오르는 역동적인 회오리 디자인으로 구성.

P9 - 천장 장식과 조명등

체리, 월넛, 부빙가, 오크, 티크, 비치, 엘다, 메이플 등

여러 목재 수종의 잔재물을 재가공하여 원통형 방 내부의 벽체를 타고 오르는 역동적인 회오리 디자인으로 구성.

P8 - 천장 문양

오크, 마호가니 등

현란하게 부서지는 프리즘의 빛 이미지를 구현한 천장 디자인. 개성이 뚜렷한 천연목재의 서로 다른 색상과 문양, 질감이 어우러진 구성.

P8 - 천장 문양

오크, 마호가니 등

현란하게 부서지는 프리즘의 빛 이미지를 구현한 천장 디자인. 개성이 뚜렷한 천연목재의 서로 다른 색상과 문양, 질감이 어우러진 구성.

F3 - 바닥 장식

느티나무 (괴목) 통판

오랜 세월을 견딘 고목의 자연미를 살려 느티나무 통판을 바닥에 설치, 오솔길을 형상화.

F3 - 바닥 장식

느티나무 (괴목) 통판

오랜 세월을 견딘 고목의 자연미를 살려 느티나무 통판을 바닥에 설치, 오솔길을 형상화.

E9 - 원형 계단

캐나다산 단풍나무 집성 통목

첨단 기법으로 제작된 캐나다산 단풍나무 집성 통목을 사용한 원형 난간대는 장인들이 정교한 수공으로 다듬질해 곡선미를 살린 작품.

E9 - 원형 계단

캐나다산 단풍나무 집성 통목

첨단 기법으로 제작된 캐나다산 단풍나무 집성 통목을 사용한 원형 난간대는 장인들이 정교한 수공으로 다듬질해 곡선미를 살린 작품.

E7 - 회랑

캐나다산 단풍나무

단풍나무의 베이지톤으로 구성한 8각 기둥과 아치형 발코니.

E7 - 회랑

캐나다산 단풍나무

단풍나무의 베이지톤으로 구성한 8각 기둥과 아치형 발코니.

D6 - 현관

아프리카산 아프로모시아

연한 황금톤 갈색의 아프로모시아 원목 통판을 사용한 반원형 구조의 터널형 인테리어 디자인.

D6 - 현관

아프리카산 아프로모시아

연한 황금톤 갈색의 아프로모시아 원목 통판을 사용한 반원형 구조의 터널형 인테리어 디자인.

F1 - 8방 별모양 바닥 장식

나무 원색을 살려 8방위 별모양을 배치.

F1 - 8방 별모양 바닥 장식

나무 원색을 살려 8방위 별모양을 배치.

D8 - 출입문

성벽처럼 쌓아올린 나무 벽돌과 아치형 문틀. 내부에 배치된 세미클래식 스타일의 사각 유리문.

D8 - 출입문

성벽처럼 쌓아올린 나무 벽돌과 아치형 문틀. 내부에 배치된 세미클래식 스타일의 사각 유리문.

D10 - 출입문

아프리카산 아프로모시아 통목

아치형 문틀과 양개문으로 구성된 유럽풍의 세미클래식 디자인.

D10 - 출입문

아프리카산 아프로모시아 통목

아치형 문틀과 양개문으로 구성된 유럽풍의 세미클래식 디자인.

E8 - 8방 원형 조명 박스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 등

태양을 상징하는 중앙 원형, 천체를 상징하는 주변부의 은하수와 북두칠성으로 구성된 박스와 샹들리에.

E8 - 8방 원형 조명 박스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 등

태양을 상징하는 중앙 원형, 천체를 상징하는 주변부의 은하수와 북두칠성으로 구성된 박스와 샹들리에.

D7 - 초대형 문: '생명의 문'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, 도우시 나무

높이 6m의 초대형 양개 자동문으로 하늘까지 자라 오르려는 거목의 꿈을 형상화한 디자인.

D7 - 초대형 문: '생명의 문'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, 도우시 나무

높이 6m의 초대형 양개 자동문으로 하늘까지 자라 오르려는 거목의 꿈을 형상화한 디자인.

P4 - 규칙적 목조 벽돌 벽체

구조용 집성재 (Glulam)

규격화된 집성목을 벽돌처럼 쌓아 올려 다양한 크기와 굵기의 나이테 문양이 살아있는 벽체.

P4 - 규칙적 목조 벽돌 벽체

구조용 집성재 (Glulam)

규격화된 집성목을 벽돌처럼 쌓아 올려 다양한 크기와 굵기의 나이테 문양이 살아있는 벽체.

P5 - 비규칙적 목조 벽돌 벽체

구조용 집성재 (Glulam)

비규칙적인 폐목재 및 자투리 나무의 단면을 노출시켜 정교하게 쌓아 만든 벽체.

P5 - 비규칙적 목조 벽돌 벽체

구조용 집성재 (Glulam)

비규칙적인 폐목재 및 자투리 나무의 단면을 노출시켜 정교하게 쌓아 만든 벽체.

E10 - 천장 8각 조명등 박스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기하학적 디자인과 정밀한 맞춤 공법으로 제작한 전통 한식 정자 분위기의 대형 실내 조명등 박스.

E10 - 천장 8각 조명등 박스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기하학적 디자인과 정밀한 맞춤 공법으로 제작한 전통 한식 정자 분위기의 대형 실내 조명등 박스.

F4 - 바닥 8각 문양 마루 널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지름 200cm의 팔각을 새긴 바닥 문양.

F4 - 바닥 8각 문양 마루 널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지름 200cm의 팔각을 새긴 바닥 문양.

P6 - 벽체 장식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중심부에 사각형과 팔각형의 전통 문양 조각. 삼각형을 이어붙인 마름모 패턴. 전통과 현대의 미를 조화시킨 벽체 디자인.

P6 - 벽체 장식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중심부에 사각형과 팔각형의 전통 문양 조각. 삼각형을 이어붙인 마름모 패턴. 전통과 현대의 미를 조화시킨 벽체 디자인.

P7 - 마름모 격자 짜깁기 패턴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사각형과 정사각형 나무 조각들을 정교하게 짜맞춘 패턴으로 벽체 디자인.

P7 - 마름모 격자 짜깁기 패턴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사각형과 정사각형 나무 조각들을 정교하게 짜맞춘 패턴으로 벽체 디자인.

D9 - 출입 미닫이 문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전통 한식의 4각, 8각, 마름모 등 기하학 도형을 활용한 문틀과 문살.

D9 - 출입 미닫이 문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전통 한식의 4각, 8각, 마름모 등 기하학 도형을 활용한 문틀과 문살.

D5 - 출입문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오랜 전통을 지켜 내려온 반듯한 격자형의 출입 중문.

D5 - 출입문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오랜 전통을 지켜 내려온 반듯한 격자형의 출입 중문.

E4 - 박공 천정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천정 높이를 최대한 높이기 위해 선택한 박공 스타일 천정과 은은한 간접 조명.

E4 - 박공 천정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천정 높이를 최대한 높이기 위해 선택한 박공 스타일 천정과 은은한 간접 조명.

D4 - 양미닫이 문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격자형에 팔각 도형을 얹은 한국 전통식 문틀과 문살의 양개 미닫이 문.

D4 - 양미닫이 문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격자형에 팔각 도형을 얹은 한국 전통식 문틀과 문살의 양개 미닫이 문.

W4 - 병풍식 2중 창문

티크, 오동나무

기하학적 무늬로 정교하게 짜맞춘 공예작품으로 병풍식 가리개의 덧창 안쪽으로 세살문 패턴의 띠살 문양 창을 배치.

W4 - 병풍식 2중 창문

티크, 오동나무

기하학적 무늬로 정교하게 짜맞춘 공예작품으로 병풍식 가리개의 덧창 안쪽으로 세살문 패턴의 띠살 문양 창을 배치.

W3 - 병풍식 2중 창문

티크, 오동나무

병풍 접이식 창문 오픈 시 양쪽 교살 창문 중심에 숨어있던 원형 꽃살문양 조각 창문과 교살 무늬 창문이 등장.

W3 - 병풍식 2중 창문

티크, 오동나무

병풍 접이식 창문 오픈 시 양쪽 교살 창문 중심에 숨어있던 원형 꽃살문양 조각 창문과 교살 무늬 창문이 등장.

E3 - 벽난로와 벽체

세파티아, 글루램 집성목

주로 건 가구재로 널리 쓰이는 세파티아 등을 사용한 나무 벽돌 쌓기와 폐목재로 제작한 대형 벽난로. 나이테가 보이는 글루램 집성목의 단면으로 벽체 하단부를 장식.

E3 - 벽난로와 벽체

세파티아, 글루램 집성목

주로 건 가구재로 널리 쓰이는 세파티아 등을 사용한 나무 벽돌 쌓기와 폐목재로 제작한 대형 벽난로. 나이테가 보이는 글루램 집성목의 단면으로 벽체 하단부를 장식.

F2 - 원목 마루

체리, 메이플, 샤벨

다이아몬드 형태의 조형미가 돋보이는 디자인. 미적요소는 물론 마모성, 내구성, 변형성, 안정성과 친환경 요소까지 고려한 수종으로 선택.

F2 - 원목 마루

체리, 메이플, 샤벨

다이아몬드 형태의 조형미가 돋보이는 디자인. 미적요소는 물론 마모성, 내구성, 변형성, 안정성과 친환경 요소까지 고려한 수종으로 선택.

E2 - 괴목 우드슬랩 테이블

괴목 (느티나무)

무늬가 뛰어나게 아름다우며 질기고 단단한 황갈색 괴목 사용.

E2 - 괴목 우드슬랩 테이블

괴목 (느티나무)

무늬가 뛰어나게 아름다우며 질기고 단단한 황갈색 괴목 사용.

P3 - 티크 조각 벽면 장식

티크

티크 원목의 작은 조각들을 일일이 다듬어 수놓듯 하나하나 짜맞춘 목공예 작품.

P3 - 티크 조각 벽면 장식

티크

티크 원목의 작은 조각들을 일일이 다듬어 수놓듯 하나하나 짜맞춘 목공예 작품.

E1 - 괴목 우드슬랩 탁자

괴목 (느티나무)

가공하지 않은 원목 자체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디자인.

E1 - 괴목 우드슬랩 탁자

괴목 (느티나무)

가공하지 않은 원목 자체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디자인.

P2 - 8각 천장 패턴과 조명 박스

티크

티크를 정교하게 짜맞추어 구성한 입체적인 8각과 4각의 기하학적 패턴.

P2 - 8각 천장 패턴과 조명 박스

티크

티크를 정교하게 짜맞추어 구성한 입체적인 8각과 4각의 기하학적 패턴.

P1 - 빗살조각무늬 격자패턴 외

티크

상부는 빗살 조각무늬 격자 패턴, 중간부는 나무를 조각해 넣은 십장생, 하부는 산수화 같은 무늬결 통판을 끼워넣은 한식풍 디자인.

P1 - 빗살조각무늬 격자패턴 외

티크

상부는 빗살 조각무늬 격자 패턴, 중간부는 나무를 조각해 넣은 십장생, 하부는 산수화 같은 무늬결 통판을 끼워넣은 한식풍 디자인.

W2 - 조명창

티크

기러기의 날갯짓을 닮은 문살과 흐르는 바람을 담은 유리, 양날개 덧창으로 구성.

W2 - 조명창

티크

기러기의 날갯짓을 닮은 문살과 흐르는 바람을 담은 유리, 양날개 덧창으로 구성.

F5 - 모자이크 바닥

티크, 웬지, 부빙가, 마호가니

네 가지 수종의 나무를 모아 모자이크 공법으로 시공한 바닥.

F5 - 모자이크 바닥

티크, 웬지, 부빙가, 마호가니

네 가지 수종의 나무를 모아 모자이크 공법으로 시공한 바닥.

D3 - 현관 중문

부빙가

적갈색 아프리카산 부빙가로 제작한 문짝과 도어 프레임.

D3 - 현관 중문

부빙가

적갈색 아프리카산 부빙가로 제작한 문짝과 도어 프레임.

D2 - 현관 대문

이페, 흑단

묵직하고 웅장한 느낌을 주는 대문으로 유럽풍의 모던 스타일과 태극 문양의 곡선을 살린 디자인. 우리나라 전통 대문의 문빗장 장식 적용.

D2 - 현관 대문

이페, 흑단

묵직하고 웅장한 느낌을 주는 대문으로 유럽풍의 모던 스타일과 태극 문양의 곡선을 살린 디자인. 우리나라 전통 대문의 문빗장 장식 적용.

W1 - 3중창문

미얀마 티크

황금 컬러 티크 원목으로 짜맞춘 갈매기형 빗살 문양 벽체. 덧창문과 한식풍의 벽속 미닫이 창문으로 구성.

D1 - 현관 중대문

티크

황금빛 대형 아치 구조물과 양개문으로 구성. 40년 숙성의 미얀마산 티크 원목을 돌처럼 다듬어 아치형 성벽처럼 쌓아올린 디자인.

E5 - 2중창, 하단 장식장과 붙박이장

북미 동부 캐나다산 월넛

2중창 하단에 위치한 장식장과 창문 좌우측에 위치한 붙박이장.

E6 - 스테인드 글라스 창 인테리어

애쉬, 오크, 메이플, 글루램 등

뭉게구름 형상 캐노피와 창틀 주변의 나무 벽돌로 장식한 독일산 스테인드 글라스 작품.

P9 - 천장 장식과 조명등

체리, 월넛, 부빙가, 오크, 티크, 비치, 엘다, 메이플 등

여러 목재 수종의 잔재물을 재가공하여 원통형 방 내부의 벽체를 타고 오르는 역동적인 회오리 디자인으로 구성.

P8 - 천장 문양

오크, 마호가니 등

현란하게 부서지는 프리즘의 빛 이미지를 구현한 천장 디자인. 개성이 뚜렷한 천연목재의 서로 다른 색상과 문양, 질감이 어우러진 구성.

F3 - 바닥 장식

느티나무 (괴목) 통판

오랜 세월을 견딘 고목의 자연미를 살려 느티나무 통판을 바닥에 설치, 오솔길을 형상화.

E9 - 원형 계단

캐나다산 단풍나무 집성 통목

첨단 기법으로 제작된 캐나다산 단풍나무 집성 통목을 사용한 원형 난간대는 장인들이 정교한 수공으로 다듬질해 곡선미를 살린 작품.

E7 - 회랑

캐나다산 단풍나무

단풍나무의 베이지톤으로 구성한 8각 기둥과 아치형 발코니.

D6 - 현관

아프리카산 아프로모시아

연한 황금톤 갈색의 아프로모시아 원목 통판을 사용한 반원형 구조의 터널형 인테리어 디자인.

F1 - 8방 별모양 바닥 장식

나무 원색을 살려 8방위 별모양을 배치.

D8 - 출입문

성벽처럼 쌓아올린 나무 벽돌과 아치형 문틀. 내부에 배치된 세미클래식 스타일의 사각 유리문.

D10 - 출입문

아프리카산 아프로모시아 통목

아치형 문틀과 양개문으로 구성된 유럽풍의 세미클래식 디자인.

E8 - 8방 원형 조명 박스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 등

태양을 상징하는 중앙 원형, 천체를 상징하는 주변부의 은하수와 북두칠성으로 구성된 박스와 샹들리에.

D7 - 초대형 문: '생명의 문'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, 도우시 나무

높이 6m의 초대형 양개 자동문으로 하늘까지 자라 오르려는 거목의 꿈을 형상화한 디자인.

P4 - 규칙적 목조 벽돌 벽체

구조용 집성재 (Glulam)

규격화된 집성목을 벽돌처럼 쌓아 올려 다양한 크기와 굵기의 나이테 문양이 살아있는 벽체.

P5 - 비규칙적 목조 벽돌 벽체

구조용 집성재 (Glulam)

비규칙적인 폐목재 및 자투리 나무의 단면을 노출시켜 정교하게 쌓아 만든 벽체.

E10 - 천장 8각 조명등 박스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기하학적 디자인과 정밀한 맞춤 공법으로 제작한 전통 한식 정자 분위기의 대형 실내 조명등 박스.

F4 - 바닥 8각 문양 마루 널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지름 200cm의 팔각을 새긴 바닥 문양.

P6 - 벽체 장식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중심부에 사각형과 팔각형의 전통 문양 조각. 삼각형을 이어붙인 마름모 패턴. 전통과 현대의 미를 조화시킨 벽체 디자인.

P7 - 마름모 격자 짜깁기 패턴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사각형과 정사각형 나무 조각들을 정교하게 짜맞춘 패턴으로 벽체 디자인.

D9 - 출입 미닫이 문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전통 한식의 4각, 8각, 마름모 등 기하학 도형을 활용한 문틀과 문살.

D5 - 출입문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오랜 전통을 지켜 내려온 반듯한 격자형의 출입 중문.

E4 - 박공 천정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천정 높이를 최대한 높이기 위해 선택한 박공 스타일 천정과 은은한 간접 조명.

D4 - 양미닫이 문

미국산 호두나무 (Black walnut)

격자형에 팔각 도형을 얹은 한국 전통식 문틀과 문살의 양개 미닫이 문.

W4 - 병풍식 2중 창문

티크, 오동나무

기하학적 무늬로 정교하게 짜맞춘 공예작품으로 병풍식 가리개의 덧창 안쪽으로 세살문 패턴의 띠살 문양 창을 배치.

W3 - 병풍식 2중 창문

티크, 오동나무

병풍 접이식 창문 오픈 시 양쪽 교살 창문 중심에 숨어있던 원형 꽃살문양 조각 창문과 교살 무늬 창문이 등장.

E3 - 벽난로와 벽체

세파티아, 글루램 집성목

주로 건 가구재로 널리 쓰이는 세파티아 등을 사용한 나무 벽돌 쌓기와 폐목재로 제작한 대형 벽난로. 나이테가 보이는 글루램 집성목의 단면으로 벽체 하단부를 장식.

F2 - 원목 마루

체리, 메이플, 샤벨

다이아몬드 형태의 조형미가 돋보이는 디자인. 미적요소는 물론 마모성, 내구성, 변형성, 안정성과 친환경 요소까지 고려한 수종으로 선택.

E2 - 괴목 우드슬랩 테이블

괴목 (느티나무)

무늬가 뛰어나게 아름다우며 질기고 단단한 황갈색 괴목 사용.

P3 - 티크 조각 벽면 장식

티크

티크 원목의 작은 조각들을 일일이 다듬어 수놓듯 하나하나 짜맞춘 목공예 작품.

E1 - 괴목 우드슬랩 탁자

괴목 (느티나무)

가공하지 않은 원목 자체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디자인.

P2 - 8각 천장 패턴과 조명 박스

티크

티크를 정교하게 짜맞추어 구성한 입체적인 8각과 4각의 기하학적 패턴.

P1 - 빗살조각무늬 격자패턴 외

티크

상부는 빗살 조각무늬 격자 패턴, 중간부는 나무를 조각해 넣은 십장생, 하부는 산수화 같은 무늬결 통판을 끼워넣은 한식풍 디자인.

W2 - 조명창

티크

기러기의 날갯짓을 닮은 문살과 흐르는 바람을 담은 유리, 양날개 덧창으로 구성.

F5 - 모자이크 바닥

티크, 웬지, 부빙가, 마호가니

네 가지 수종의 나무를 모아 모자이크 공법으로 시공한 바닥.

D3 - 현관 중문

부빙가

적갈색 아프리카산 부빙가로 제작한 문짝과 도어 프레임.

D2 - 현관 대문

이페, 흑단

묵직하고 웅장한 느낌을 주는 대문으로 유럽풍의 모던 스타일과 태극 문양의 곡선을 살린 디자인. 우리나라 전통 대문의 문빗장 장식 적용.